티스토리 뷰
FastVentures의 Textbook 영상 콘텐츠 수강 내용을 정리합니다.
Unit Economics
“돈을 얼마나 써서 기업을 성장 시킬 수있는가?”
- 돈을 얼마나 써서: 고객 한명을 유치하는데 얼마를 투자하여
- CAC: Customer Aquisition Cost 고객 유치 비용
- 기업을 얼마나 성장 시킬 수 있느가?: 고객 한명한명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수익이 얼마나 될 것인가?
- CLTV: Customer Life Time Value: 고객이 서시스를 사용하는 가져다주는 수익에 대한 총액
→ 우리 서비스의 Unit Economics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가?
- 마케팅 flow = 고객(유닛)이 가진 가치 → 유닛 획득 투자 비용 → 투자금액 회수 소요 기간
CAC&CLTV
CAC 계산 방법
마케팅 예산 / 새롭게 모색한 구매 고객
- 이번 달 마케팅 켐페인 비용: 1000만원
- 이번 달 전체 새롭게 모객이 된 고객의 수: 1000명
- 1000만원 / 1000명 → 한명 모객하는데 만원씩 투자(CAC = 1만원)
CLTV 계산 방법
서비스 특성상 각 사마다 다를 수 있다.
(측정 주요 요소를 포함한 방향성)
고객 한명당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수익(공헌이익 기준) * 고객의 생애기간
= (고객이 서비스와 함께하는 생애 기간 동안 만들어 내는 거래액 매출 * 수익율) - 변동비용
거래액 매출 또는 GMV(거래액)이 아닌 실질적으로 가져다 주는 수익 공헌이익
Payback 기간
CLTV를 통해서 투자금액을 회수한 기간
- ex) CLTV가 축적이 되면서 CAC인 만원을 만나는데 지 걸린 12개월
CASE 1
“서비스를 공격적으로 확장하자”
AS-IS | TO-BE |
|
|
offline 광고 단가가 online 보다 높다 →CAC 증가(기존에 운영했던 퍼포먼스 마케팅 대비 2배)
CTLV 개선: payback 12개월 → 6개월
- (지표: 고객들의 잔존율, 객단가, 재구매 빈도율)
⇒ 대폭적인 CAC는 CLTV로 ROI가 나오기때문에 확장해야 한다는 결론
CASE 2
S사 → 재구매율 등 올리는 리텐션 마케팅 필요 | E 사 → 공격적인 마케팅 확장 필요 |
|
|
데이터 기반으로 하는 CAC, CLTV, Payback period 세가지 매트릭스를 기반으로하는 마케팅 필요
마켓 컬리
“CAC는 Daily를 채크하지만 LTV 계산은 안한다.”
why not LTV
- 비용 계산의 어려움
- 물류비가 많이 차지하는데 변동성이 크다.(규모의 경제에 따라 낮아짐)
- 고객 가치 계산은 쉽지만(비슷한 행동을 보면 되기 때문) 긍정적, 부정적 가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차이가 크다
- i.e. 긍정적 지표: 컬리의 코호트 고객(충성 고객?)은 나이키 커브로 구매
CAC 계산
가입 기준/ 구매 기준 중 구매기준으로 보수적으로 보는편
- 한달 동안 사용한 마케팅 비용 / 한달동안 새롭게 가입한 고객 구매 비용
- All In cost(채널비, 모든 혜택 포함)
- 이번달에 가입해서 이번달에 구매하신 분들만 포함
- 구매 전환 고객은 CAC에서 제외
세컨드 신드롬
유닛이 고객이 아닌 공간
- 공간 사업으로 임대차, 부동산 관련 비용 체계가 들어간다.
유닛 이코노믹스 개선 및 관리
공간 자체가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을 낮추는 일
- 운영 코스트: 운영 효율(IoT 등 자동화)
- 랜트 비
비쥬얼
상품 가격대가 다양 → CLTV 계산 x
ROAS로 Payback Period를 대체하여 목표 설정
지표
- CPI(Cost Per Install): 앱 설치 비용
- ROAS를 150% 목표
- 일련의 과정을 통한 실질적인 결제까지의 CAC
- 리타게팅 마케팅
와이즐리
- 유닛: 한명의 고객
- 이코노믹스:
- 손익 관점: CAC vs LTV Ratio
- 현금 관점: payback period
CAC 계산
- Aquisition 된 customer = 구매
- 들어오는 통로 구분: 통제 가능 여부에 따라 구분해야 광고 활동들의 효율성 측정 가능(보수적인 관점 유지)
- 광고 같은 페이드 채널
- 통제하는 마케팅 활동과 연관된 결과
- 오가닉 채널
- 통제 할 수 없는 고객 유입
- 광고 같은 페이드 채널
LTV 계산
value = 매출 이익의 총합
측정 기간 = 36개월
Payback Period 사용 목적
재무적인 자원 분배
- 마케팅 비를 얼마 쓸수 있는지에 대한 결정
Terms
ATL(Above The Line): 라디오, 잡지, 신문, TV 등 미디어라는 매체를 활용하여 광고, 홍보 활동 등을 하는 비대면 마케팅 방식
BTL(Below The Line): 이벤트, 전시, 스폰서십, PPL 등의 활동을 하면서 미디어를 대상으로 홍보하지 않는 방식, ATL 방식이 아닌 모든 것
ROI(Return On Investment): 투자대비 수익률: 투자 혹은 비용에 대한 순수익 (매출 - 비용 및 광고 투자) / 비용 및 광고 투자
ROAS(Return of Ad Spending): 광고비용 대비 수익률: 수익 / 광고
Reference
'Essa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피벗(Pivot) (0) | 2022.02.14 |
---|---|
MVP&PMF (0) | 2022.02.06 |
비지니스 모델 (0) | 2022.01.30 |
'프리온보딩 백앤드' 그 시작 (0) | 2021.11.04 |
사업 아이디어 평가하기 (0) | 2021.10.21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user-agent
- MSA
- cka
- Git
- go
- QUIC
- k8s
- 위코드
- 덕타이핑
- GitHub
- HTTP/3
- web_server
- Complier
- http
- thetextbook
- Isolate level
- 창업
- pytest
- inflearn
- gitignore
- direnv
- buildkit
- 프리온보딩
- database
- docker-compose
- HTTP/2
- 원티드
- Network
- Python
- no-op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